[수학Ⅰ] 제2장 실수와 복소수

by Lee Yeohyeon
637 views

제2장 실수와 복소수

실수라는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각각의 실수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가능할까? \(0\)이나 \(1\)과 같이 간단하고 중요한 수의 경우도 이들이 과연 무엇인지 그 자체로 밝히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실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는 것은 우리가 지금 공부하는 수학Ⅰ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먼저 실수가 갖는 성질 중 중요한 두 가지 성질, 즉 연산에 대한 성질 및 순서에 관한 성질을 간략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복소수를 도입하고 복소수의 연산에 대해 살펴본다.

2.1 실수의 연산과 순서*

실수의 연산에 관한 성질*

공집합이 아닌 집합 \(S\)의 임의의 두 원소 \(a, b\)에 대하여 어떤 연산 \(\ast\)을 한 결과가 다시 집합 \(S\)의 원소가 될 때, 즉 \[ a \in S, b \in S\quad\Longrightarrow\quad a \ast b \in S \] 일 때, 집합 \(S\)는 그 연산 \(\ast\)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한다.1

보기 임의의 두 자연수의 합과 곱은 항상 자연수이므로 자연수 전체의 집합은 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각각 닫혀 있다. 한편, 두 무리수의 합이 항상 무리수인 것은 아니므로 무리수 전체의 집합은 덧셈에 대하여 닫혀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실수 전체의 집합 \(\mathbb{R}\)의 임의의 세 원소 \(a, b, c\)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덧셈과 곱셈 각각에 대한 결합법칙과 교환법칙이 성립하며 덧셈에 대한 곱셈의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 결합법칙 : \((a + b) + c = a + (b + c),\quad (ab)c = a(bc)\)
  • 교환법칙 : \(a + b = b + a,\quad ab = ba\)
  • 분배법칙 : \(a(b + c) = ab + ac,\quad (a + b)c = ac + bc\)
한편 집합 \(S\)가 연산 \(\ast\)에 대하여 닫혀 있을 때, \(S\)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하여 \[ a\ast e = e \ast a = a \] 를 만족시키는 \(S\)의 원소 \(e\)가 존재하면 \(e\)를 연산 \(\ast\)에 대한 항등원이라고 한다. 또, 집합 \(S\)가 연산 \(\ast\)에 대하여 닫혀 있고 \(e\)가 \(S\)의 항등원일 때, 집합 \(S\)의 원소 \(a\)에 대하여 \[ a\ast x = x \ast a = e \] 를 만족시키는 \(S\)의 원소 \(x\)가 존재하면 \(x\)를 연산 \(\ast\)에 대한 \(a\)의 역원이라고 한다.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덧셈에 대한 항등원은 \(0\),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1\)이다. 또 실수 \(a\)에 대하여 덧셈에 대한 역원은 \(- a\), $0$이 아닌 실수 $b$의 곱셈에 대한 역원은 \(1/b\)이다.

유제 2.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산 $\triangle$를 \[ \mbox{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quad a \triangle b = (a + 2)(b + 2) - 2 \] 로 정의할 때, 연산 \(\triangle\)에 대한 항등원을 구하여라.

유제 2.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산 $\ast$를 \[ \mbox{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quad a \ast b = (a + 1)(b + 1) - 1 \] 로 정의할 때, 연산 \(\ast\)에 대한 \(3\)의 역원을 구하여라.

유제 2.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산 $\heartsuit$를 \[ \mbox{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quad a\heartsuit b = ab - 2(a + b) + 6 \] 으로 정의할 때, 연산 \(\heartsuit\)에 대한 역원이 존재하지 않는 실수를 구하여라.

이제, 실수 전체의 집합 위에서 정의된 덧셈과 곱셈의 연산에 대한 성질을 상기하면서, 그 기본 성질이 어떻게 이용되는지 알아보자.

예제 2.4 임의의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 a + c = b + c\ \Longrightarrow\ a = b \]

Sol. \(a + c = b + c\)의 양변에 덧셈에 대한 \(c\)의 역원 \(- c\)를 더하면 \begin{align} \Rightarrow &\quad (a + c) + ( - c) = (b + c) + ( - c) \nonumber \\ \Rightarrow &\quad a+\left\{c+(-c)\right\}=b+\left\{c+(-c)\right\} \tag{덧셈에 대한 결합법칙}\\ \Rightarrow &\quad a + 0 = b + 0 \tag{덧셈에 대한 역원} \\ \Rightarrow &\quad a = b \tag{덧셈에 대한 항등원} \end{align} 따라서 \(a + c = b + c\)이면 \(a = b\)이다.

유제 2.5 임의의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1. \(a\cdot 0 = 0\)
  2. \(c \neq 0\)일 때, \(ac = bc\)이면 \(a = b\)이다.

예제 2.6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 \mbox{$ab = 0$ 이면 \(a = 0\) 또는 \(b = 0\)이다.} \]

Sol. 먼저 \(a = 0\)인 경우에는 증명할 것이 없으므로 \(a \neq 0\)라 가정하자. \(a\)의 곱셈에 대한 역원 \(1/a\)이 존재하므로 \(ab = 0\)의 양변에 \(1/a\)을 곱하면 \begin{align} \Rightarrow &\quad (1/a)\cdot (ab) = (1/a)\cdot 0 \nonumber \\ \Rightarrow &\quad ((1/a)\cdot a)b = 0 \tag{곱셈에 대한 결합법칙} \\ \Rightarrow &\quad 1\cdot b=0 \tag{곱셈에 대한 역원} \\ \Rightarrow &\quad b=0 \tag{곱셈에 대한 항등원} \end{align} 즉 $a= 0$이 아니라면 \(b = 0\)이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었다.

유제 2.7 임의의 두 유리수 \(a, b\)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 \mbox{\(a + b\sqrt{2} = 0\)이면 \(a = 0\)이고 \(b = 0\)이다.} \]

실수의 대소 관계*

임의의 실수는 수직선 위에서 한 점에만 대응되고, 이때 수직선에서 양수는 원점의 오른쪽에 있는 점에, 음수는 원점의 왼쪽에 있는 점에 대응된다. 따라서 실수는 양수, \(0\), 음수로 분류된다. 한편 양수의 집합은 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각각 닫혀 있으므로 \(a\)와 $b$가 양수이면 \(a + b\)와 \(ab\)도 양수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roposition 2.1.1 (실수의 기본 성질)

  1.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다음 중 오직 하나만 성립한다. (삼일률)
  2. \[ \mbox{$a$는 양수},\quad a=0,\quad \mbox{$a$는 음수} \]
  3. 임의의 두 양수 $a, b$에 대하여, $a+b$와 $ab$는 양수이다.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 - b\)도 실수이므로 실수의 기본 성질에 의하여 \[ \mbox{$a-b$는 양수},\quad a-b=0,\quad \mbox{$a-b$는 음수} \] 중에서 반드시 어느 하나만 성립한다. 이때

  • $a-b$가 양수이면 $a>b$
  • $a-b=0$이면 $a=b$
  • $a-b$가 음수이면 $a< b$
로 정한다. 따라서 두 실수 \(a, b\)에 대하여 \[ a>b,\quad a = b,\quad a< b \] 중에 반드시 어느 하나만 성립한다.

유제 2.8 실수의 기본 성질들을 이용하여 다음을 증명하여라.

  1. $a< b$이고 $c>0$이면 $ac< bc$
  2. $a< b$이고 $c<0$이면 $ac>bc$
  3.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a^{2} \geq 0\)
  4. $1>0$

예제 2.9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a>0\)이면 \(1/a>0\)임을 증명하여라.

Sol. \(1/a\)은 실수이므로 \[ \frac{1}{a}>0,\quad \frac{1}{a} = 0,\quad \frac{1}{a}<0 \] 중 하나만 성립한다.

  1. \(1/a = 0\)이면 \(a \times 1/a = a \times 0 = 0\), 즉 \(1 = 0\)이 되어 모순이다.
  2. \(1/a<0\)이면 \(a \times 1/a < a \times 0 = 0\), 즉 \(1<0\)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a>0\)일 때는 \(1/a>0\)일 수밖에 없다.

유제 2.10 임의의 두 실수 \(a, b\)와 $0$이 아닌 임의의 실수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여라.

  1. \(a^{2} + b^{2} = 0\)이면 \(a = 0\)이고 \(b = 0\)이다.
  2. \(a>b\)이고 \(c>0\)이면 \(a/c >b/c\)이다.

유제 2.11 두 양수 \(a, b\)에 대하여 $a< b$이면 \(1/b<1/a\)임을 보여라.

유제 2.12 두 양수 $a, b$에 대하여 $a< b$일 필요충분조건은 $a^2< b^2$인 것임을 보여라.

자주 사용하는 실수의 대소 관계에 대한 성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orem 2.1.2 (실수의 대소 관계에 대한 성질)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a>b,\ b>c$이면 $a>c$이다.
  2. $a>b$이면 $a+c>b+c$이고 $a-c>b-c$이다.
  3. $a>b, c>0$이면 $ac>bc$이다.
  4. $a>b, c<0$이면 $ac< bc$이다.

유제 2.13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여라.

  1. \(a \geq b,\ b \geq a\)이면 \(a = b\)이다.
  2. \(a \geq b,\ b \geq c\)이면 \(a \geq c\)이다.

절댓값의 성질

수직선에서 실수 \(a\)를 나타내는 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a\)의 절댓값이라고 하고 기호로 \(\vert a\vert\)와 같이 나타낸다. 혹은 $a$의 절댓값을 \[ \vert a\vert = \begin{cases} a & (a \geq 0) \\ - a & (a<0) \end{cases} \] 로 정의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절댓값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Theorem 2.1.3 (절댓값의 성질)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vert a\vert\geq 0,\quad \vert a\vert=\vert -a\vert$
  2. $\vert a\vert^{2}=a^{2} $
  3. $\vert ab\vert=\vert a\vert \vert b\vert $
  4. $\displaystyle\left\vert\frac{a}{b}\right\vert=\frac{\vert a\vert}{\vert b\vert}\quad (b\neq 0)$

유제 2.14 \(- 2 \leq a<3\)일 때, \(\vert a + 4\vert + \vert a - 1\vert \)을 간단히 하여라.

2.2 복소수

복소수의 뜻

제곱하여 \(2\)가 되는 양수를 \(\sqrt{2}\)로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곱하여 \(- 1\)이 되는 새로운 수를 하나 생각하여 \(\sqrt{- 1}\)로 쓴다. 이것을 기호 \(i\)로 나타내고, 이를 허수단위라고 한다.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 a + bi \] 의 꼴로 나타낸 수를 복소수(complex number)라 하고, \(a\)를 이 복소수의 실수부분, \(b\)를 허수부분이라고 한다. 또한 복소수 전체의 집합은 보통 $\mathbb{C}$로 나타낸다.

임의의 실수 \(a\)는 \(a + 0i\)의 꼴로 나타낸 것으로 생각하자. 그러면 실수 전체의 집합은 복소수 전체의 집합에 포함된다. 한편 실수가 아닌 복소수 \[ a + bi\ (b \neq 0) \] 를 허수라고 하고 실수부분이 \(0\)인 허수를 순허수라고 한다. 2

보기

  1. 네 개의 수 \(3, 1 + i, 2i, 3 - 2i\)는 모두 복소수이다. 3 이때 \(3\)은 실수인 복소수이고, \(1 + i, 2i, 3 - 2i\)는 허수인 복소수이며 특히 \(2i\)는 순허수이다.
  2. 복소수 \(2 + 3i\)에서 실수부분은 \(2\), 허수부분은 \(3\)이다.

두 복소수의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이 각각 같을 때, 두 복소수는 서로 같다고 한다. 즉 두 복소수 $a_{1}+b_{1}i, a_{2}+b_{2}i$에 대하여 \[ a_{1}+b_{1}i=a_{2}+b_{2}i\ \Longleftrightarrow\ \mbox{$a_{1}=a_{2}$이고 $b_{1}=b_{2}$} \] 이다. 복소수를 $z$와 같은 하나의 문자를 사용하여 간단히 나타내기도 한다. 그리고 앞으로는 복소수를 $a+bi$와 같이 나타낼 때는 특별한 언급이 없어도 $a, b$는 모두 실수인 것으로 생각한다.

\(a, b\)가 실수일 때, 복소수 \(z=a + bi\)에 대하여 허수부분의 부호를 바꾼 복소수 \(a - bi\)를 \(a + bi\)의 켤레복소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 \overline{z}=\overline{a + bi} \] 와 같이 나타낸다. 즉, \(\overline{a + bi} = a - bi\)이다.

보기 \(\overline{1 + i} = 1 - i, \overline{- i} = i, \overline{2} = 2\)

이 보기를 통해 실수의 켤레복소수는 실수 자신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복소수의 덧셈과 곱셈

복소수의 덧셈과 곱셈은 허수단위 \(i\)를 하나의 문자처럼 생각하여 계산한다. 이때 덧셈에서는 실수부분은 실수부분끼리, 허수부분은 허수부분끼리 계산하고, 곱셈에서는 허수단위 \(i\)를 하나의 문자로 생각하여 계산한 다음 \(i^{2}\)을 \(- 1\)로 바꾼다. 즉, 두 복소수의 덧셈과 곱셈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finition 2.2.1 (복소수의 덧셈과 곱셈)
두 복소수 $a+bi, c+di$에 대하여 덧셈과 곱셈을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a+bi)+(c+di)=(a+c)+(b+d)i$
  2. $(a+bi)(c+di)=(ac-bd)+(ad+bc)i$

두 복소수의 덧셈과 곱셈의 결과는 모두 복소수이므로 복소수 전체의 집합은 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닫혀있다. 또, 실수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소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유제 2.15 임의의 복소수 \(z, w, v\)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여라.

  1. \(z + w = w + z\)
  2. \((z + w) + v = z + (w + v)\)

유제 2.16 두 복소수의 곱셈의 결과는 항상 복소수임을 확인하고, 임의의 복소수 \(z, w, v\)에 대하여 다음 법칙이 성립함을 보여라.

  1. \(zw = wz\)
  2. \((zw)v = z(wv)\)
  3. \(z(w + v) = zw + zv\)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orem 2.2.2 (복소수의 연산에 대한 기본 성질)
복소수 전체의 집합 $\mathbb{C}$의 임의의 원소 $z_{1}, z_{2}, z_{3}$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z_{1}+z_{2}\in\mathbb{C},\quad z_{1}z_{2}\in \mathbb{C}$ (닫혀있음)
  2. $(z_{1}+z_{2})+z_{3}=z_{1}+(z_{2}+z_{3})$,(결합법칙)
    $ (z_{1}z_{2})z_{3}=z_{1}(z_{2}z_{3})$
  3. $z_{1}+z_{2}=z_{2}+z_{1},\quad z_{1}z_{2}=z_{2}z_{1}$(교환법칙)
  4. $z_{1}(z_{2}+z_{3})=z_{1}z_{2}+z_{1}z_{3}$, (분배법칙)
    $ (z_{1}+z_{2})z_{3}=z_{1}z_{3}+z_{2}z_{3}$

임의의 복소수 \(a + bi\)에 대하여 \begin{align*} (a + bi) + 0 & = 0 + (a + bi) = a + bi,\\ (a + bi ) \cdot 1 & = 1 \cdot (a + bi ) = a + bi \end{align*} 이므로 덧셈에 대한 항등원은 \(0\)이고,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1\)이다. 한편 복소수 \(a + bi\)에 대하여 \[ (a + bi ) + (x + yi ) = 0 \] 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x + yi\)를 구하여 보면 \[ (a + x) + (b + y)i = 0 \] 에서 \(a + x = 0, b + y = 0\)이므로 \(x = - a, y = - b\)이다. 따라서 복소수 \(a + bi \)의 덧셈에 대한 역원은 \(- a - bi \)이다.

또 \(0\)이 아닌 복소수 \(a + bi\)에 대하여 \[ (a + bi )(x + yi ) = 1 \] 을 만족시는 복소수 \(x + yi \)를 구하여 보면 \[ (ax - by) + (ay + bx)i = 1 \] 에서 \(ax - by = 1, ay + bx = 0\)이므로 4 \[ x = \frac{a}{a^{2} + b^{2}},\quad y = - \frac{b}{a^{2} + b^{2}} \] 이다. 따라서 복소수 \(a + bi \)의 곱셈에 대한 역원은 \[ \frac{a}{a^{2} + b^{2}} - \frac{b}{a^{2} + b^{2}}i \] 이다. 일반적으로 복소수 \(z = a + bi\)에 대하여 \(z\)의 덧셈에 대한 역원을 \(- z\), 곱셈에 대한 역원을 \(1/z=\frac{1}{z}\)로 나타낸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orem 2.2.3 (복소수의 덧셈, 곱셈에 대한 항등원과 역원)
임의의 복소수의 연산에 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덧셈에 대한 항등원은 $0$이다.
  2.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1$이다.
  3. 복소수 $z=a+bi$에 대한 덧셈의 역원 $-z$는 $-z=-a-bi$이다.
  4. $0$이 아닌 복소수 $z=a+bi$에 대한 곱셈의 역원 $1/z=1/(a+bi)$는 \[ \frac{1}{z}=\frac{a}{a^{2} + b^{2}} - \frac{b}{a^{2} + b^{2}}i \] 이다.

보기 \(1 + 2i\)의 덧셈에 대한 역원은 \[ - (1 + 2i) = - 1 - 2i \] 이고 곱셈에 대한 역원은 \[ \frac{1}{1 + 2i} = \frac{1 - 2i}{(1 + 2i)(1 - 2i)} = \frac{1 - 2i}{5} = \frac{1}{5} - \frac{2}{5}i \] 이다.

복소수의 뺄셈과 나눗셈은 실수의 뺄셈, 나눗셈과 마찬가지로 각각 덧셈, 곱셈에 대한 역원을 이용하여 \[ z-w:=z+(-w),\quad z\div w:= z\times\frac{1}{w} \] 로 정의하며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두 복소수 \(z = a + bi, w = c + di\)에 대하여 \begin{align*} z - w & = (a + bi ) - (c + di ) \\ & = (a + bi ) + ( - c - di )\\ & = (a - c) + (b - d)i \\ \end{align*} 그리고 \begin{align*} z \div w & = (a + bi ) \div (c + di )\\ & = (a + bi ) \times \left(\frac{c}{c^{2} + d^{2}} - \frac{d}{c^{2} + d^{2}}i\right)\\ & = \frac{ac + bd }{c^{2} + d^{2}} + \frac{bc - ad }{c^{2} + d^{2}}i. \quad\mbox{(단, \(c + di \neq 0\))} \end{align*}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orem 2.2.4 (복소수의 뺄셈과 나눗셈)
두 복소수 $a+bi, c+di$에 대하여

  1. $(a + bi ) - (c + di ) = (a - c) + (b - d)i $
  2. $ \displaystyle (a + bi ) \div (c + di ) = \frac{ac + bd }{c^{2} + d^{2}} + \frac{bc - ad }{c^{2} + d^{2}}i \quad\mbox{(단, \(c + di \neq 0\))}$

특히 복소수의 나눗셈은 다음과 같이 분모의 켤레복소수를 분모, 분자에 각각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 \frac{a + bi }{c + di } = \frac{(a + bi )(c - di )}{(c + di )(c - di )} = \frac{(ac + bd ) + (bc - ad )i}{c^{2} + d^{2}} = \frac{ac + bd }{c^{2} + d^{2}} + \frac{bc - ad }{c^{2} + d^{2}}i \]

유제 2.17 다음을 계산하여 \(a + bi \)의 꼴로 나타내어라.

  1. \((2 - 3i) + (1 + i)\)
  2. \(\left(1 + \sqrt{3}i\right)^{2} - \left(1 - \sqrt{3}i\right)^{2}\)
  3. \(\displaystyle\left(\frac{1 - i}{1 + i}\right)^{2}\)
  4. \(\displaystyle\frac{1 + i}{2 - i}\)

음수의 제곱근

음수의 제곱근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양수 \(a\)에 대하여 방정식 \(x^{2}=-a\)의 근을 \(-a\)의 제곱근이라고 부르는 것이 자연스럽다.5 그런데 \[ (\sqrt{a}i)^{2} = ai^{2} = - a,\quad ( - \sqrt{a}i)^{2} = ai ^{2} = - a \] 이므로 \(\sqrt{a}i\)와 \(- \sqrt{a}i\)는 방정식 \(x^{2}=-a\)의 근이고6 따라서 \(\sqrt{a}i\)와 \(- \sqrt{a}i\)는 \(- a\)의 제곱근이다. \(\sqrt{a}i\)는 \(\sqrt{- a}\)로 나타낸다.

유제 2.18 다음 수의 제곱근을 구하여라.

  1. \(- 36\)
  2. \(- 5\)
  3. \(- \dfrac{1}{49}\)

일반적으로 음수의 제곱근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Theorem 2.2.4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

  1. $a<0, b<0$일 때, $\sqrt{a}\sqrt{b}=-\sqrt{ab}$
  2. $a>0, b<0$일 때, $\displaystyle\frac{\sqrt{a}}{\sqrt{b}}=-\sqrt{\frac{a}{b}}$

유제 2.19 다음을 간단히 하여라.

  1. \(i^{4n}\)
  2. \(i^{4n + 3}\)
  3. \(\displaystyle\left(\frac{1 + i}{\sqrt{2}}\right)^{8n} + \left(\frac{1 - i}{\sqrt{2}}\right)^{8n}\)
  4. \(\displaystyle\left(\frac{1 + i}{1 - i}\right)^{2020}\)
  5. \(\displaystyle\left(\frac{1 + \sqrt{3}i}{2}\right)^{100} + \left(\frac{1 - \sqrt{3}i}{2}\right)^{98}\)

유제 2.20 \(a = 3 + \sqrt{3}i, b = 3 - \sqrt{3}i\)일 때, \(a^{3} - a^{2}b - ab^{2} + b^{3}\)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2.21 \(\displaystyle x = \frac{1 + \sqrt{3}i}{2}\)일 때, \(x^{4} - x^{3} + 3x - 2\)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2.22 자연수 $n$에 대하여 집합 $A_{n}$을 $A_{n}=\left\{ z\in\mathbb{C}\mid z^{n}=1\right\}$라 정의하자. $A_{n}$이 두 조건

  1. $\frac{-1+\sqrt{3}i}{2}\in A_{n}$
  2. $z\in A_{n}$이면 $-z\in A_{n}$이다.
를 만족시킬 때, $n$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1. 좀 더 많은 수학을 공부한 후에는, 집합 $S$ 위의 `연산'을 $S\times S=\{(a, b)\mid a, b\in S \}$에서 $S$로 가는 함수로 이해하게 되는데, 이는 닫혀있지 않은 것은 아예 연산이라고 부르지도 않는다는 뜻이다.
  2. $0+bi\ (b\neq 0)$꼴의 수는 물론 $bi$로 간략히 나타낸다.
  3. 물론 $3-2i$는 $3+(-2)i$를 간단히 쓴 것이다.
  4. 중학교에서 배운 $x, y$에 대한 연립일차방정식!
  5. \(n\)이 자연수일 때, 방정식 \(x^{n}=\alpha \)의 근을 \(\alpha\)의 \(n\)제곱근이라고 부른다.
  6. 모든 근을 찾은 것일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