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의 분할

by Lee Yeohyeon
688 views

자연수 \(r\)의 분할(partition)이란, 합하여 \(r\)이 되는 자연수들의 모임이다. 만일 \(n\)개의 자연수를 합하여 \(r\)을 만들었다면, '\(r\)이 \(n\)개의 부분(part)들로 분할되었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5\)는 \(7\)개의 분할, \[ 5;\quad 4+1,\ 3+2;\quad 3+1+1,\ 2+2+1;\quad 2+1+1+1;\quad 1+1+1+1+1, \] 을 갖는다. \(5\)의 분할을 셀 때, 예를 들어 \(3+2\)와 \(2+3\)은 동일한 것으로 여긴다는 것에 유의하자. 또한 \(5\)를 한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한 가지; \(5\)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두 가지; \(5\)를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두 가지; \(5\)를 네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한 가지; \(5\)를 다섯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한 가지이다.

앞으로 자연수 \(r\)의 \(n\)개의 부분을 갖는 분할의 개수를 \[ \Pi(r, n) \] 로 나타내자. 그러면 \(\Pi(r, n)\)은 구별되지 않는 \(r\)개의 공을 구별되지 않는 \(n\)개의 상자에 담을 때, 빈상자가 없도록 담는 경우의 수와 같다. '상자에 공 담기'라는 이 유용한 아이디어를 앞으로도 종종 써먹을 것이다. 자연수 \(r\)의 모든 분할의 총 개수는 \(\Pi(r)\)로 나타내자. 그러면 \(\Pi(r)\)은 구별되지 않는 \(r\)개의 공을 구별되지 않는 \(r\)개의 상자에 담는 경우의 수와 같다. 또한 \[ \Pi(r)=\sum_{j=1}^{r}\Pi(r, j)=\Pi(r+r, r)=\Pi(2r, r) \] 이 성립하는데, 여기서 가운데의 등호가 성립하는 것은 구별되지 않는 \(r\)개의 상자에 이미 공이 하나씩 들어 있고, 추가로 \(r\)개의 공을 이들 상자에 넣는 것을 생각해보면 자명하다 할 수 있겠다.

\(\Pi(r, n)\)의 정의에 의해 \begin{align*} \Pi(r, n)&=0\quad\mbox{if \(n>r\)},\\ \Pi(r, r)&=\Pi(r, 1)=1,\\ \Pi(r, n)&=\sum_{k=1}^{n}\Pi(r-n, k)=\Pi(r-1, n-1)+\Pi(r-n, n) \end{align*} 이 성립함을 얻는데, 여기서 마지막 등식은 정확히 \(1\)개의 공만 들어 있는 상자가 있는 경우와 정확히 \(1\)개의 공만 들어 있는 상자가 없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여 얻을 수 있다.

위의 점화관계가 Pascal의 삼각형을 만드는 것만큼 극적이진 않더라도 다음 표1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식 \(\Pi(r, n)=\Pi(r-1, n-1)+\Pi(r-n, n)\)을 이용하여 \(\Pi(19, 5)+\Pi(14, 6)=70+20=\Pi(20, 9)\)를 계산할 수 있다. 표의 맨 아래쪽 행에 있는 \(90\)은 같은 열 위쪽에 있는 \(20\) 그리고 바로 위 왼쪽의 \(70\)을 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표1: \(\Pi(r, n)\): \(n\)개의 부분을 갖는 자연수 \(r\)의 분할의 개수

만일 \(\Pi(r, n)\)에 대한 '닫힌형태'의 예쁜 식을 찾고자 한다면, 지금까지 하지 않았던 다른 방식의 접근을 해야할 것이다.

Leave a Comment